Algorithm8 백준 10951번 multiple line input 문제는 다음과 같다 크기 제한이 없는 Multiple line input을 처리하는 것이 관건인 문제인 것 같다. 해결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. def solution(): # get multiple line input with no strict size answer_list = list() while True: try: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+B) except: break solution() map(function, X) 은 x에 function을 적용해주는 함수다. 예를 들어, '1 1' 이 들어오면, split()에 의해 ['1', '1'] 이 되고, map을 적용하면, 각각의 리스트 요소가 integar가 되어 할당된다. try except가 없.. 2021. 9. 18. Linked List 1 링크드 리스트 1(Linked List)¶ 대표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 Linked List의 구조¶ 한글로 '연결 리스트' 라고도 한다. 배열은 미리 특정한 공간을 예약을 해놓고 연결된 공간에 데이터를 나열해야 함. 그러나 Linked List는 미리 예약을 하지 않고, 필요할 때마다 데이터를 더 추가할 수 있는 구조다. 즉, 배열의 단점을 극복한 자료구조. 배열 데이터만 저장 링크드 리스트 [데이터 + 다음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공간을 가르키는 주소값을 가지고 있는 공간] 으로 이루어 져 있고, 이를 Node라고 부른다. 따라서 기본 구조는 Node 로 이루어져 있고, 노드 안에는 (데이터, 포인터) 로 구성되어있다. 포인터(pointer)는 각 노드 안에서,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 정보를 가지.. 2021. 1. 26. STACK 스택 STACK¶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구조 큐와 다르게, 가장 나중에 쌓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 큐 : FIFO 스택 : LIFO 쉽게 이해!! => 책을 쌓는다고 생각하자. 쌓은 책을 뺄 때, 가장 높게 쌓여있는 책을 먼저 뺄텐데, 그 책은 가장 나중에 쌓은 책이다. 주요 기능 push() : 데이터를 스택에 넣기 pop() : 데이터를 스택에서 꺼내기 스택 구조, 프로세스 스택¶ In [1]: #이거 결과 ㅈㄴ신기하네... def recursive(data): if data 2021. 1. 26. 배열_1 배열 Array¶ 배열 : 데이터를 나열하고 각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그러나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타입이 배열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. 배열은 왜 필요한가?¶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 배열의 장점 : 인덱스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넘어가면서 찾는게 아니라 바로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가능하기에 접근 시 빠른 속도가 장점 ex) 데이터 S T R I N G 인덱스 0 1 2 3 4 5 하나하나씩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인덱스로 바로 접근가능함 배열의 단점 : 데이터를 저장할 때 미리 사이즈 설정을 해야 됨. 근데 데이터에 더 길게 값을 추가하려고 하면, 배열에서는 추가 공간을 기존 공간에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.. 2021. 1. 20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