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35 NULL 값 다루기 : COALESCE(A,B) 함수 1. NULL 값을 가진 ROW들만 조회하기 IS NULL 구문을 사용하면 열의 값이 NULL인 행만 조회할 수 있다. 1 2 SELECT * FROM copang_main.member WHERE address IS NULL; cs 2. NULL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조회하기 Address 열에서 null이 아닌 값들만 조회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. 1 2 SELECT * FROM copang_main.member WHERE address IS NOT NULL; cs 3. 하나의 열에라도 NULL 값이 있는 경우를 조회 height, weight, address 중 하나라도 null값이 존재하면 조회. 1 2 3 4 SELECT * FROM copang_main.member WHERE heig.. 2021. 1. 27. SQL로 데이터 특성 파악하기(Mathematical function : 산술함수) 집계함수와 달리 산술함수는 특정 column의 각 row마다 실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대표적으로 ABS, SQRT, CEIL, ROUND, FLOOR 등이 있다. 1. SQRT() 제곱근을 구해주는 함수다. 아래와 같이 입력 후 실행해주면 1 SELECT SQRT(weight) FROM copang_main.member; cs 다음과 같이 제곱근 형태로 결과가 나온다. 2. CEIL() , FLOOR() CEIL()은 올림을 해주는 함수고, FLOOR()은 내림을 해주는 함수다. 앞서 몸무게에 대한 제곱근 값에 CEIL을 씌워줘본다. 1 SELECT CEIL(SQRT(weight)) FROM copang_main.member; cs 아래와 같이 올림이 되었다. 3. ROUND() 반올림을 해주는 .. 2021. 1. 26. SQL로 데이터 특성 파악하기(Aggregate function : 집계함수) 기초적인 데이터 특성 파악하기( COUNT, MAX, MIN, AVG) 특정 column의 값들을 대상으로 원하는 값을 집계해주는 함수를 집계함수(Aggregate funcion) 이라고 한다. 이 함수들은 특정 column의 여러 row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실행된다. 대표적으로 SUM, COUNT, STD, MAX, MIN..이 있다. 1. COUNT() 아래와 같이 COUNT(특정 열) 를 써주면 특정 열의 행이 몇 개인지 알려준다. 그러나 이는 NULL 값을 제외하고 세기 때문에 전체 행의 개수를 알기에는 부적절하다. 1 SELECT COUNT(height) FROM copang_main.member; cs 전체 행 개수를 알려면 다음과 같이 써주면 된다. 1 SELECT COUNT(*) FROM .. 2021. 1. 26. LIMIT 구문 사용법 Python에서 head를 사용하여 top 10개를 볼 수 있는 것처럼, SQL에서도 LIMIT 구문을 사용하여 10개만 조회할 수 있다. LIMIT 구문 사용 예시 1. TOP N개만 조회 1 2 3 SELECT * FROM copang_main.member ORDER BY sign_up_day DESC LIMIT 10; cs 2. 특정 위치의 데이터만 알고 싶을 때 (LIMIT m, n ) - m개의 row부터 n개를 조회하라는 뜻이다. 1 2 3 SELECT * FROM copang_main.member ORDER BY sign_up_day DESC LIMIT 8,2; cs 위의 경우에는 8번째 row부터 2개의 행을 조회하라는 것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. 앞선 쿼리의 결과에 index를 .. 2021. 1. 26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다음